- 홈
- 외교정책
- 국제기구·지역협력체
- ASEAN+3
- 개요
개요

ASEAN+3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3 ASEAN+ 한 중 일 삼국의 협력 관계의 증진
ASEAN+3 개요
-
발전 경위
- 1990.12 마하티르 말레이시아 전총리가 미국·호주 등을 제외한 아태지역 국가들만의 경제협의체 결성을 목표로 「동아시아 경제회의」(East Asian Economic Caucus : EAEC) 창설을 주장
- 동아시아 국가간 교역·투자 확대 등 상호 의존이 심화됨에 따라 미국의 아태 경제질서 주도 등에 대응하여 동아시아 경제권의 독자적 목소리를 내야한다는 여론 확산
- 1997.12 ASEAN은 창설 30주년 기념 정상회의에 아시아 금융위기 등 초국가적인 문제의 해결을 위해 한‧중‧일 3개국 정상을 동시 초청, 제1차 ASEAN+3 정상회의를 개최함에 따라 ASEAN+3 체제 발족
-
회원국 (13개국)
-
ASEAN 10개국, 한국, 중국, 일본
(ASEAN: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
ASEAN 10개국, 한국, 중국, 일본
-
ASEAN+3 주요 회의체
현재 20여개 분야 60여개의 정부간 협의체 운영 중
-
ASEAN+3 정상회의
- 1997년 제 1차 회의가 개최된 이래 매년 ASEAN+3 정상회의 개최
- 주요 의제는 ASEAN+3 협력 현황 점검 및 미래방향, 주요 지역 및 국제 정세에 대한 의견 교환
- 의장국은 당해 연도 ASEAN 의장국이 수임 ※ 2013년 브루나이, 2014년 미얀마, 2015년 말레이시아, 2016년 라오스, 2017년 필리핀, 2018년 싱가포르, 2019년 태국
-
ASEAN+3 외교장관회의
- 1999년 ASEAN+3 정상회의시 채택한 “동아시아 협력에 관한 공동성명” 8조에 따라 2000년부터 매년 7월~8월경 ASEAN 관련 외교장관회의 개최 계기 ASEAN+3 외교장관회의 개최
- 주요 의제는 ASEAN+3 협력 현황 점검 및 주요 지역 및 국제 정세에 대한 의견 교환
-
여타 주요 각료회의
-
ASEAN+3 재무장관회의
- 1997년 제1차 ASEAN+3 정상회의 개최시 재무장관들에게 역내 금융 협력 강화를 촉구함에 따라, 1999년 처음으로 ADB 연례회의시 부대행사로 개최한 이래 연 1회 개최 정례화(※2000년 2회 개최)
- ASEAN+3 역내 금융안전망 구축 및 강화, 역내 채권시장 발전방안, 자본유출입 공동대응 방안 등 논의
-
ASEAN+3 경제장관회의
- 1999년 ASEAN+3 정상회의시 채택한 “동아시아협력에 관한 공동성명” 8조에 따라 2000년부터 매년 1회 개최
- ASEAN+3 경제협력 및 동아시아 경제통합에 대한 의견 교환
-
ASEAN+3 농림장관회의
- 2000.7 필리핀이 기존 ASEAN 농림장관회의를 ASEAN+3 차원으로 확대할 것을 제안함에 따라, 2001.10 제1차 ASEAN+3 농림장관회의 개최
- ASEAN+3 농림분야 협력사업 및 식량안보 대응방안, 농업분야 개발격차 해소 등 논의
-
ASEAN+3 노동장관회의
- 기존 ASEAN 노동장관회의에 한·중·일 노동장관을 초청함으로써 2001년 5월 제1차 ASEAN+3 노동장관회의 개최
- ASEAN+3 노동분야 협력사업, 국제노동기구(ILO)에서의 협력 등 논의
-
ASEAN+3 재무장관회의
-
- ASEAN+3 고위관리회의(SOM)
- ASEAN+3 외교장관회의 개최 준비를 위해 2000년 5월 제1차 회의가 개최된 이래, 주요 지역 및 국제문제에 대한 의견 교환 및 외교장관회의 준비, 정상회의 후속조치 점검, 매년 상하반기 2회 개최
- 한·중·일이 매년 돌아가면서 3국 조정국 역할을 수임하고, 필요시 ASEAN 의장과 함께 공동의장직 수행
-
-
CPR+3 회의
- 2008.12 ASEAN 헌장 발효에 따라 설립된 ASEAN 상주대표부와 한·중·일의 ASEAN 대사간의 회의로, ASEAN+3 협력사업 이행현황 점검 및 미래발전방향에 대한 의견교환
- ASEAN+3 협력사업 점검 및 미래 발전방향, 기타 위임받은 사항에 대한 의견 교환
-
CPR+3 회의
-
ASEAN+3 정상회의
메뉴담당부서 : 아세안협력과
전화 : 2100-8449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