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건 제1차관, 제네바 군축회의(CD) 고위급 회기 연설
|
---|
![]() ![]() ![]() ![]() ![]() ![]() ![]() ![]() ![]() ![]() |
□ 최종건 제1차관은 2.23(화) 오전(현지 시간) 제네바 군축회의(CD: Conference on Disarmament) 고위급 회기 연설을 화상으로 실시하여 국제 군축·비확산 체제 강화의 중요성과 우리의 기여 의지를 강조하는 한편,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설명하였다.
□ 최 차관은 군축협상의 교착상태 장기화와 더불어, 코로나19를 비롯한 비전통 안보위협의 대두 등으로 국제 안보환경이 어려운 상황에서, 국제사회가 다자주의의 기치 하에 공동으로 노력해 나갈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특히, 유일한 다자 군축협상 포럼인 제네바 군축회의(CD)가 군축협상에 있어 진전을 이루어내고, 이를 통해 국제평화와 안보 증진에 기여하기를 기대 ◦ 최근 미·러간 신전략무기감축조약(New START)의 연장을 환영하고, 향후 “핵무기 없는 세상” 목표 달성을 위해 관련국들이 핵비확산조약(NPT)에 따라 핵군축 진전을 위한 대화에 임할 것을 촉구 ◦ 우리나라의 기여와 관련, 핵군축 진전 모색을 위한 16개 주요 핵 비보유국간 협의체인 스톡홀름 이니셔티브(Stockholm Initiative) 참여, 미래 세대의 군축 문제 관여 확대 모색을 위한 유엔총회 ‘청년과 군축·비확산(Youth,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결의 채택 주도 등 노력 소개 □ 아울러, 최 차관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는 선택이 아니라 반드시 가야만 하는 길이라고 강조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지지를 요청하였다. ◦ 우리 정부는 한반도 평화의 일상화를 목표로 그동안 대북 관여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끊임없이 경주해 왔음을 설명하면서, 특히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군비통제 분야 성과로서 9.19 군사합의 소개
|
다음 글 한-영 외교장관 통화 결과 |
메뉴담당부서 : 언론담당관실
전화 : 2100-8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