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어린이·청소년
  2. RSS
  3. ENGLISH

외교부

뉴포커스

강경화 장관, France 24 인터뷰(4.13.)

담당부서
정책홍보담당관실
등록일
2020-04-21
조회수
19670

@ 출처 France 24 인터뷰 바로가기



장관님 France 24 인터뷰(4.13)






France 24 interviews Foreign Minister Kang, Kyung-wha
 
 
Anchor: Hello and welcome to the France 24 interview. Our guest today is South Korea’s Foreign Minister Kang, Kyung-wha. She joins us by satellite from Seoul. Thank you very much for being with us today.
 
FM: Thank you for having me.
 
Anchor: Mrs. Minister, South Korea has earned plaudits from around the globe for its tackling of the coronavirus pandemic. The number of infections dropped from 900 a day in late February to less than 30 per day, this without imposing any lock downs and even holding legislative elections this week. What has South Korea done differently?
 
FM: Let me first begin by expressing my solidarity and appreciation for all the medical staff and the frontline workers who are fighting this unprecedented health challenge around the world. I think the work has been remarkably valiant but also very difficult and that has certainly been the case in our country as well. My heartfelt sympathies to the victims and the families who have certainly lost loved ones in this crisis. Governments are fighting this around the world, and so as government, our solidarity with the governments in the midst of this. As you say, things have stabilized here in my country. The numbers of new infections are now under 50 and that has been continuing trend during the past week. So yes, we have acted quickly and preemptively. And that is not just our philosophy, but is a reflection of our recent experience. You may know that in 2014, we had a terrible ferryboat accident where we lost 304 lives in the midst of a very inept response by the government at the time. And that has been a collective trauma to all Korean people. And the following year, in 2015, we had a MERS outbreak that lasted for about three months. It didn’t affect that many people but was very, highly fatal. And I think the government’s reaction then was also initially very intransparent and dismissive, and so heavily criticized, it came around, responded, and contained. So this government has been very determined to be prepared when disaster strikes. We may not be able to prevent disasters from striking, but we can do a lot to prepare so that we can minimize the human suffering and contain the socioeconomic consequences. So from the very beginning, we were of a mindset and a government machinery ready to act quickly and preemptively, and that is what we have done, and being uncompromisingly transparent and open in the process. Our fight about the virus is about robust testing, very vigorous tracing, and quick treatment of the patients. In addition to transparent and open, we have also been very adaptive, adapting our response to the changing nature of this new challenge of a new virus, the nature of which we don’t fully understand as yet.
 


 
Anchor: Right. Mrs. Foreign Minister, massive testing has been the key. There are reports that the United States has ordered some 600,000 testing kits from South Korea. Are you confirming that this is the case that South Korea will send such amount and even more testing kits to the US?
 
FM: Yes, we are in fact. I think these are FDA approved, preliminary approval for these quickly approved, and as a result of a conversation between my President and President Trump last month. So yes, I think the contracts have been signed and they should be ready for shipment any time soon. But we’re also sending test kits to many other countries as well.
 
Anchor: Right. Do you fear “second wave” of the virus? You’ve imposed harsher controls for people coming into the country last week. We’ve seen these happen in China. Is this a real concern in your country as well?
 
FM: As I said, we don’t know fully about the nature of this new virus. We know that it travels very quickly. We know that it’s highly fatal to certain people with certain medical conditions, especially among the elderly people. But what we are discovering these days is that those fully cured and released, many of them have been found to test positive a few days after. So now we’re learning that, there’s a lot more that we need to learn about how the virus travels in addition to the need to find cures and vaccines. The nature of the virus, a lot of uncertainties surrounding that, but also, as you say, now we have many cases found among recent travelers that have come back to the country from overseas travel. So this is global challenge. It is not enough that we contain the disease inside the country. This is a challenge that we have to overcome together as a global community.
 
Anchor: Right. We saw Japan declare a state of emergency. And you’ve chosen not to impose any lockdown. There’s strict social distancing as there are known guidelines that have been prolonged. Could you consider harsher measure if you see that indeed the virus is coming back through people coming in or people being reinfected?
 
FM: As I said, our principle has been openness. Obviously, the virus travels with people. So to contain the virus, you have to contain people movement. And you can do this from two different approaches. You either respect the freedom of movement of people and make exceptions for those who need to be contained, the patients certainly, but for the close contacts, or you do the opposite way. You crack down on the movement and you make an exception for the travel. Our approach has been from the very beginning, by default, respecting the people’s right to freedom of movement, and then to implement measures where necessary and proportionate to the needs to manage the risk. Now because the risk factor comes with the people traveling, coming from overseas into the countries, we have placed all travelers coming from outside the country to 14 days of self-isolation either in their homes or in government-sponsored facilities for monitoring and testing if necessary and then hospitalization if necessary. So our measures have adapted to the evolving nature of this challenge but the principle has been to preserve that openness to the very best of our abilities and that has meant a great deal of work for the government. But we have managed. I don’t think the idea of a lockdown or blockade would be acceptable to our public. Even at the hight of our crisis, when this was exploding in the southern city of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where numbers were climbing by the hundreds, as you say, to a maximum of 900 per day, even then, we did not impose a blockade. We strongly advised people not to go to crowded places, to stay home, but we did not impose mandatory travel bans. People were still free to travel in and out of the city even at that time. The idea of a mandatory blockade would be contrary to our principle of openness.
 


 
Anchor: Do you agree with President Trump tha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as been too slow and even too lenient with China?
 
FM: I think in hindsight, we can say a lot of things. But I don’t think anybody knew how fast this virus would travel at the very beginning. For Korea, the WHO has been a very collaborative and very helpful partner throughout this challenge. We communicate very closely, and we support its work. WHO is the technical agency at the lead of this global health crisis response and it should be supported. There will be lots of lessons learned at some point when we take stock. But we need to support the lead agency as we try to come together in the midst of this crisis.
 
Anchor: Just very quickly, your neighbor North Korea claims it has no case at all. Is it a reliable assertion?
 
FM: That is its official position, I think we need to take that with some grain of salt. But it is an intransparent, closed country where information is very difficult to get. But we watch very closely on the developments with the information that we are able to garner through its official media outlets. But we will see. And we stand prepared. My government, we really think that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health sector, especially at a time of this contagious disease, is necessary. We have made that offer. But so far, we have not received any positive response.
 

 
Anchor: Just a very last question. We’ve seen testing of missiles by North Korea. Are you fearing an escalation while the world is focused on fighting the pandemic?
 
FM: Again, we watch very closely. We analyze these recent short-range projectiles they’re firing with our US ally. This is certainly unhelpful as we are dealing with this unprecedented global health crisis. It is certainly unhelpful to our efforts to revive the momentum for dialogue towards denuclearization and work towards las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chor: Foreign Minister Kang, Kyung-wha, Thank you very much for being with us here in France 24 from Seoul and telling us about how your country is fighting coronavirus. Thank you for watching this interview.  /End/




-------------------------------------비공식 국문 번역-----------------------------------------




앵커: 안녕하세요. France 24 인터뷰입니다. 오늘 모실 손님은 강경화 한국 외교장관님입니다. 서울에서 위성연결 중입니다. 오늘 함께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강경화 장관: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앵커: 장관님,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조치는 전 세계적으로 찬사를 받고 있습니다. 확진자수는 2월말 하루 900여명에서 하루 30명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봉쇄 조치를 하지도 않고 이번 주 총선까지 치루면서 말입니다. 다른 국가와 다르게 한국이 취한 조치는 어떤 것입니까?


강경화 장관: 우선 전 세계적으로 전례 없는 이 보건 위기와 맞서고 있는 의료진들을 포함하여 최전방에서 뛰고 있는 분들에 대한 연대감과 감사의 표시를 하고 싶습니다. 코로나19를 대응하는 일은 대담하면서도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되며, 한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번 사태의 희생자들과 사랑하는 이들을 잃은 유가족들에게 진심으로 애도를 표합니다. 세계 각국 정부들은 코로나19와 맞서 싸우고 있으며, 이 위기 상황에서 한국 정부도 연대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말씀하셨다시피, 한국에서 코로나19 확산세는 안정화되고 있습니다. 신규 확진자 수는 이제 하루 50명 이하로 줄어들었고, 지난주부터 이 추세는 계속 이어졌습니다. 따라서, 한국 정부가 신속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한 것이 맞습니다. 이는 우리 정부의 철학일 뿐 아니라, 우리의 최근 경험들이 반영된 것입니다. 아시겠다시피 2014년 우리는 끔찍한 여객선(세월호) 사고를 겪었고, 당시 정부의 미숙한 대응으로 인해 304명이 숨졌습니다. 그 사건은 우리 국민 모두에게 집단적 트라우마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듬해인 2015년에는 약 3개월간 메르스 사태를 겪었습니다. 메르스는 그렇게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매우 치명적인 것이었습니다. 당시 정부는 초기 대응에 있어 매우 불투명하고 국민의 요구를 묵살함에 따라 강한 비판에 부딪히면서, 결국 재수습하고 대응하여 막을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현 정부는 재난이 닥칠 때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는 강한 의지를 갖고 있었습니다. 우리가 재난을 막을 수는 없겠지만, 만반의 준비를 함으로써 국민들의 고통을 최소화하고 사회경제적 여파를 막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코로나 사태 초기부터 우리 정부 기구는 신속하고 선제적인 조치를 취할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었고,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최대한 투명하고 또 개방적인 자세를 유지했습니다. 코로나19에 대한 우리의 대응 조치는 탄탄한 진단검사 역량, 매우 적극적인 추적, 그리고 확진자의 신속한 치료로 간략히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우리는 투명성과 개방성을 유지했을 뿐 아니라 대응 조치를 실시함에 있어서 우리가 아직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이 신종 바이러스로 인한 새로운 위기의 변화 양상에 맞추어 시의적절하게 대응해 왔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장관님,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에 있어서 대규모 진단검사가 핵심이었는데요. 미국이 한국으로부터 진단키트 60만개를 주문했다는 보도가 있습니다. 한국이 미국으로 동 물량과 또한 추가로 더 많은 진단키트를 보내는 것인가요?


강경화 장관: 네, 사실 그렇습니다. 우리 진단키트에 대한 FDA의 신속한 사전승인이 이루어졌습니다. 지난달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간 통화의 결과입니다. 계약이 이미 체결되었고 언제든지 운송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다른 많은 국가들에도 진단키트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코로나19의 “제2의 물결(대규모 전파확산)”을 우려하지는 않으십니까? 지난 주 한국은 국내 입국자들에 대해 더욱 강력한 제한 조치를 취했는데요. 중국에서도 이와 같은 조치들이 내려지는 것을 보았습니다. 한국에서도 “제2의 물결”에 대한 우려가 큰 것인지요?


강경화 장관: 말씀드렸다시피, 우리는 이 신종 바이러스의 특성에 대해 완전히 알지 못합니다. 이 바이러스 전파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바이러스가 특정 질병을 지닌 특정 사람들, 특히 고령자들에게 매우 치명적이라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최근 우리는 완치자와 격리 해제자 중 많은 이들이 며칠 후 다시 양성 판정을 받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치료약과 백신을 개발하는 것 외에도 우리는 이 바이러스의 전파 양상에 대해 아직 알아나가야 할 것이 많습니다. 이 바이러스의 특성에 대해 불확실한 점이 많은 상황에서, 말씀하셨다시피 최근 해외에서 한국으로 돌아오는 입국자들 중 확진자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사태는 국제적 위기입니다. 국내에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것으로 부족합니다. 우리가 국제사회와 함께 극복해야 하는 위기입니다.


앵커: 그렇군요. 얼마 전 일본이 국가 긴급사태를 선포했습니다. 한편, 한국은 봉쇄조치를 실시하지 않았습니다. 그 대신 최근 연장된 엄격한 사회적 거리두기 수칙을 따르도록 하고 있는데요. 만약 입국자나 재확진자를 통해 바이러스가 다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면 더욱 강력한 조치를 취하는 것을 고려할 예정입니까?


강경화 장관: 말씀드렸다시피, 우리는 개방성의 원칙을 따르고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분명히 사람을 통해 전파됩니다. 따라서 바이러스를 막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이동을 억제해야 합니다. 이 조치는 두 가지 다른 접근법을 통해 취해질 수 있는데요. 사람들의 이동의 자유를 존중하는 한편, 감염자 및 직접 접촉자 등 격리될 필요성이 있는 사람들에 대해 예외를 취하는 방법이 있고, 그 반대의 방법, 즉, 이동을 엄중 단속하고 예외적인 경우에만 허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우리는 가장 초기부터 기본적으로 사람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권리를 존중하면서 위기관리를 위해 필요한 수준만큼만 제한 조치를 실시하는 접근법을 취했습니다. 현재 해외 입국자들로부터 위험 요인이 발생함에 따라, 우리는 그들에게 자택 또는 정부 지원 시설에 14일간 자가격리하도록 하고, 필요시 모니터링과 진단검사, 그리고 또 필요하면 입원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우리 조치는 이번 사태의 변화 양상에 맞춰가면서도 우리 역량이 허락하는 한 최대한 개방성을 유지하는 원칙을 지켜왔습니다. 이는 정부로서는 엄청난 노력이 필요한 것이지만 한국 정부는 해내고 있습니다. 강제 봉쇄조치는 우리 국민이 수용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내 위기가 가장 심각한 상황에 있었을 때, 즉 대구 및 경북 지역에서 말씀하신대로 확진자수가 몇 백 단위로 증가하여 하루 900여명까지 올라갔을 때에도, 우리는 봉쇄조치를 실시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국민들에게 사람들이 밀집된 장소에 가지 말고 자택에 머물라고 강하게 권고하면서도, 강제적인 이동통제 조치는 하지 않았습니다. 그 당시에도 국민들은 대구내‧외에서 이동이 자유로웠습니다. 강제 봉쇄는 우리의 개방성 원칙에 반하는 것입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보건기구(WHO)가 너무 느리고 심지어 중국에 대해 너무 관대하게 대해 왔다는 입장에 동의하십니까?


강경화 장관: 지금 와서 되돌아보면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있겠지만 아주 초기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얼마나 빨리 전파될지 아무도 몰랐다고 생각합니다. 한국 입장에서 WHO는 이번 사태에 있어서 매우 협조적이고 도움을 주는 파트너였습니다. 우리는 매우 긴밀히 소통하고 있으며, WHO 노력을 지지합니다. WHO는 이번 국제 보건 위기를 선두에서 이끄는 주요 전문적 기관으로서 지지받아야 합니다. 어느 순간 이번 사태를 되돌아보면 교훈이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 위기 상황을 함께 극복하기 위해 WHO를 지지해야 합니다.


앵커: 빠른 질문 하나 하겠습니다. 이웃인 북한이 코로나 19 확진자가 한 명도 없다고 하고 있는데요. 신뢰할만한 주장입니까?


강경화 장관: 강경화 장관: 그것이 북한의 공식 입장이이지만, 어느 정도는 걸러 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북한은 불투명하고 폐쇄된 나라이므로 정보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공식 언론매체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를 토대로 북한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분명히 현 전염병 위기에 있어서 남북간 보건 협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입장입니다. 한국은 북한에 그러한 제안을 한 상황이지만, 현재까지 이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을 받지 못했습니다.


앵커: 마지막 질문 하나만 더 드리겠습니다. 북한은 미사일 시험을 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가 코로나 19 대응에 주목하고 있는 와중에 북한 도발이 강화될 것을 우려하십니까?


강경화 장관: 말씀드렸다시피, 우리는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동맹국인 미국과 최근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들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이러한 행위는 전례 없는 세계적 보건 위기 대응에 있어 명백히 도움이 되지 않는 행위입니다. 또한 우리의 비핵화를 위한 대화 모멘텀 재개 노력과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구축을 위한 노력에도 분명히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앵커: 강경화 외교장관님, 서울에서 France 24에 출연하여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방안에 대해 설명해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인터뷰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정책홍보담당관실
전화
02-2100-8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