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어린이·청소년
  2. RSS
  3. ENGLISH

외교부

참고자료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안보
  4. 북한핵문제
  5. 참고자료
글자크기

2016 한‧미 외교‧국방 장관(2+2)회의 공동성명

부서명
외교부 > 북핵외교기획단
작성일
2016-10-20
조회수
4738

 

Joint Statement of the 2016 United States – Republic of Korea Foreign and Defense Ministers’ Meeting


Preamble

U.S. Secretary of State John Kerry and Secretary of Defense Ashton Carter convened a “2+2” meeting with Republic of Korea (ROK) Foreign Minister Yun Byung-se and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Han Min-koo in Washington, D.C. on October 19, 2016. The U.S.-ROK “2+2” session, the fourth of its kind since 2010, preceded the 48th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SCM) between Secretary Carter and Minister Han on October 20, 2016, at the Pentagon.

The Secretaries and Ministers reiterated the commitment of the U.S.-ROK Alliance to counter the grave security threats posed by North Korea and together meet regional and global challenges based on the shared values of freedom, democracy, human rights, and the rule of law, as set forth in the 2013 “Joint Declaration in Commemoration of the 60th Anniversary of the U.S.-ROK Alliance” and the 2015 “U.S.-ROK Joint Statement on North Korea.” The Secretaries and Ministers reaffirmed that today’s comprehensive and strategic U.S.-ROK Alliance serves as a linchpin of peace and security not just on Korean Peninsula, but across the Asia-Pacific region, promoting regional and global stability, security, and prosperity. They welcomed the continuing evolution of the Alliance into a deepening global partnership, embodying the spirit of the 2015 Joint Fact Sheet “Republic of Korea-United States Alliance: Shared Values, New Frontiers” to meet challenges that affect the world, including climate change and the refugee crisis.

U.S.-ROK Alliance

The Secretaries and Ministers reaffirmed the mutual commitment of the U.S.-ROK Alliance to defend the ROK through a robust combined defense posture and the enhancement of mutual security, as based on the U.S.-ROK Mutual Defense Treaty. Secretaries Kerry and Carter reiterated the ironclad and unwavering U.S. commitment to draw on the full range of its military capabilities, including the U.S. nuclear umbrella, conventional strike, and missile defense capabilities, to provide extended deterrence for the ROK. The U.S. Secretaries also reaffirmed the longstanding U.S. policy that any attack on the United States or its allies will be defeated, and any use of nuclear weapons will be met with an effective and overwhelming response. The officials collectively decided that robust deterrence against North Korea required leveraging the full breadth of national power – including diplomacy, information, military coordination, and economic elements. To that end, the Secretaries and Ministers decided to establish a high-level Extended Deterrence Strategy and Consultation Group (EDSCG) to be co-chaired by representatives from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Department of Defense, and the Department of State, with participation from other relevant agencies. Through this dialogue, the two sides plan to work closely on policy issues related to extended deterrence. To continue demonstrating Alliance readiness, resolve, and determination across our governments, the officials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planning and combined exercises related to a range of crisis situ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Secretaries and Ministers affirmed that preparation for the Conditions-based Operational Control (OPCON) transition is progressing according to the “Conditions-based OPCON Transition Plan” (COT-P). They pledged to continue implementing the COT-P faithfully in order to ensure a stable wartime OPCON transition at a proper time.

The Secretaries and Ministers reaffirmed the Alliance commitment to deploy a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battery to U.S. Forces Korea on the Korean Peninsula as an effective and necessary self-defense measure against North Korea’s evolving missile threats. They re-emphasized the system would be deployed solely for the purpose of defending against North Korean missile threats and would not impact the strategic deterrent of other nations in the region. The officials pledged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to ensure the THAAD deployment process continues to move forward without delay, and they reiterated that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remained open to constructive engagement on THAAD’s miss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e Secretaries and Minister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our longstanding,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in the peaceful uses of nuclear energy. To this end, they reaffirmed both countries’ commitment to strengthen strategic and future-oriented civil nuclear cooperation by actively engaging in the U.S.-ROK High Level Bilateral Commission, a key mechanism for implementing the recently renewed U.S.-ROK Agreement for Cooperation Concerning Peaceful Uses of Nuclear Energy, which serves as a milestone for bilateral nuclear cooperation. They welcomed the two countries’ shared commitment to and partnership in nuclear safety and security, as well as their cooperation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global nonproliferation regime. They welcomed the success of the 4th Nuclear Security Summit held in March 2016 in Washington, D.C., and the United States expressed appreciation for ROK leadership as Chair of the Nuclear Suppliers Group and the Missile Technology Control Regime 2016-2017. The officials are committed to working for the early entry into force of the Comprehensive Nuclear Test Ban Treaty to realize the vision of a world without nuclear weapons.

The Secretaries and Ministers praised the inaugural meeting of the Defense Technology Strategy and Cooperation Group (DTSCG) in July. The DTSCG enables the two sides to work together to advance policy and strategic discussion on technology security, foreign policy, and defense technology cooperation in support of the ROK-U.S. Alliance.

They recognized the value of the U.S.-ROK partnership’s advancement into New Frontiers of cooperation such as cyber security, space, and global health. They reaffirmed the two countries’ mutual commitment to increase cyber cooperation, including with respect to North Korean cyber-attacks, and highlighted plans to enhance space cooperation to address challenges to space security. The officials recognized the KORUS-FTA enhanced mutually beneficial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North Korea

The Secretaries and Ministers reaffirmed the Alliance’s commitment to countering the accelerating threat to peace and security posed by North Korea’s repeated and flagrant violations of its international obligations and commitments. They condemned in the strongest possible terms North Korea’s unprecedented level of nuclear tests and ballistic missile launches in 2016, including its fourth and fifth nuclear tests; its 23 short-range, medium-range, intermediate-range, long-range, and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launches; and its admission it is producing fissile material – including highly enriched uranium – for nuclear weapons. These actions are destabilizing to the region and clear violations of numerous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The officials believ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be united in seeking all necessary measures with utmost urgency and determination to urge North Korea to fulfill its international obligations and commitments, cease all activities related to its nuclear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s immediately, and abandon all nuclear weapons and existing nuclear programs, as well as other existing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s, in a 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manner. They shared the view that the rapid advancement of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constitute a direct threat to both countries and other countries in the region. Based on the common understanding of the gravity and urgency of the North Korean threat, they discussed concrete measures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can take to counter those threats.

The Secretaries and Ministers reiterated their commitment to impose real costs and consequences on the North Korean regime for its provocative and destabilizing actions through multilateral, cooperative, bilateral, and national measures aimed at stopping North Korea’s advancement of its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and compelling the regime to return to authentic and credible negotiations on denuclearization. They recalled the commitments set forth in the “2015 Republic of Korea and United States of America Joint Statement on North Korea.” The Secretaries and the Ministers reaffirmed that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would continue to work closely to implement fully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270, which imposed the strongest sanctions yet on North Korea. They stressed the importance of increased international pressure to compel North Korea to cease its destabilizing behavior that threatens regional security and the global nonproliferation regime. They also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wift Security Council action to adopt a new resolution to further strengthen our international response to North Korea’s unlawful September 9 nuclear test. The officials discussed efforts to encourage third countries to review the full scope of their ties and relationships with North Korea and noted countries which host North Korean laborers have a responsibility to ensure their wages will not support North Korea’s nuclear and ballistic missiles programs.

The Secretaries and the Ministers underscored their concern for the well-being of the North Korean people due to the regime’s many human rights abuses. They noted the diversion of North Korea’s resources to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were further deepening its isolation and aggravating the hardship of the people suffering under Kim Jong Un and his regime. They also welcomed international efforts to draw attention to North Korea’s systematic, widespread, and gross violations of human rights. The officials discussed ways to highlight further the deplorabl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including the activities of the office of the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in Seoul, the implementation of the recently enacted North Korea Human Rights Act, the recent appointment of the ROK Ambassador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and the launch of the bilateral North Korean Human Rights Consultation held October 4 in Washington D.C. They decided to work further on issues such as holding leadership accountable in North Korea.

The Secretaries and Ministers exchanged their views on the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ecretaries Kerry and Carter reaffirmed their strong support for President Park’s vision of a peacefully unified Korean Peninsula, as envisaged in her Dresden address and noted in the 2015 “Republic of Korea and United States of America Joint Statement on North Korea.” In that regard, the Secretaries and the Ministers decided to continue high-level strategic consultations to create a favorable environment for the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Regional Issues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reiterated their shared resolve to promote regional peace and security. As part of those efforts, the Secretaries and the Ministers reaffirmed their commitment to further enhance ROK-U.S.-Japan trilateral cooperation through wide-ranging and close consultations.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strong trilateral relations and discussed the positive role each must play to reinforce regional stability. They highlighted the March 2016 trilateral summit among President Barack Obama, President Park Geun-hye, and Prime Minister Shinzo Abe and the September Trilateral Ministerial Meeting in New York on the margins of the 71st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and decided to seek ways to sustain the momentum.

The Secretaries and Ministers shared the view that enhancing U.S.-ROK-Japan trilateral cooperation strengthens deterrence against the North Korean threat. In this regard, they lauded the successful trilateral missile warning exercise conducted in June 2016 and anticipated further strides to improve trilateral defense cooperation, using established trilateral defense consultations such as the Defense Trilateral Talks. The officials praised the trilateral diplomatic and defense coordination that took place following North Korea’s multiple provocations, including the January and September 2016 nuclear tests. The officials also acknowledged advancements in global cooperation through trilateral consultation mechanisms such as the Vice-Ministerial Trilateral, the Trilateral Discussion on Development Policy, the Women’s Empowerment Trilateral Forum, and the Humanitarian Assistance and Disaster Response Working Group.

The Secretaries and the Minist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structive cooperation with China through various forms of dialogue to further shared goals of peace, stability, and prosperity. The United States welcomed the ROK government’s efforts to build on the vision of ROK-Japan-China cooperation as expressed through the 2015 “Joint Declaration for Peace and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nd to enhance bilateral cooperation with Japan. The ROK government expressed support of U.S. efforts to advance a comprehensive and constructive bilateral relationship with China.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guaranteeing freedom of navigation and overflight, the officials emphasized that all countries have the right to fly, sail, and operate in the South China Sea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

Secretary Kerry also acknowledged the ROK contribution in addressing regional challenges through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which President Park launched in 2013. The Secretaries and Ministers noted the 3rd High-level Intergovernmental Meeting (HIM) co-hosted by the ROK and the U.S. on October 6-7 in Washington D.C., as well as the 2016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Forum held concurrently with the HIM, while looking forward to additional trust-building dialogues in the future.

Global Partnership

The Secretaries and the Ministers recognized the impact of the Alliance beyond the region, emphasizing the two nations’ collaboration on a wide range of issues requiring a global response. Acknowledging the diverse array of unconventional threats in today’s interconnected world, the officials reaffirmed their commitment to tackle issues ranging from climate change to terrorism.

As partners in the Global Coalition to Counter ISIL, the Secretaries and the Ministers condemned the suffering ISIL’s violent extremism has caused for the people in Iraq, Syria, and around the world. In response to an unprecedented refugee crisis, the ROK pledged to maintain its current level of annual humanitarian assistance at $44 million every year for the next three years and also committed an additional $100 million beyond that level, subject to domestic procedures, within the next three years at the U.S. co-hosted Leaders’ Summit on Refugees. Secretaries Kerry and Carter praised the ROK government for its generous contribution and continued promotion of peacekeeping activities, as well as the ROK’s $255 million pledge, subject to domestic procedures, in security and development assistance to Afghanistan.

Building upon the 2015 Conference of the Parties in Paris, both sides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alleviating and adapting to climate change. Secretaries Kerry and Carter expressed appreciation for ROK support of the amendment to phase dow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hydrofluorocarbons under the Montreal Protocol. Additionally, both sides conveyed their dedication to prevent, deter, and eliminate illegal, unreported, and unregulated fishing through the ratification of the Port State Measures Agreement. In light of the September 2016 Our Ocean Conference, Secretary Kerry lauded the decision to renew a Joint Project Agreement to collaborate on marine research from 2017-2021.

The Secretaries and Ministers acknowledged the positive strides made to advance the Global Health Security Agenda (GHSA), including through the ROK’s upcoming 2017 chairmanship of the GHSA Steering Group. They highlighted the successful collaboration among the United States, the ROK, and Japan affirmed at the September 2016 trilateral meeting of health ministers on the Cancer Moonshot. The officials praised U.S., ROK, and Japanese commitment to women’s political and economic empowerment within the respective countries through the Equal Futures Partnership Initiative, which was reinforced at the inaugural U.S.-ROK-Japan Women’s Empowerment Trilateral Forum in September. The Forum’s expanded agenda included global coordination on adolescent girls’ education.

Conclusion

Built on mutual trust, shared values, and tested through more than six decades of commitment, the U.S.-ROK partnership has never been stronger. The scope and range of cooperation between our two countries is evident – from strengthening our Alliance, to deepening our trade and economic relationship, building strong regional relations, and expanding our global partnership. The Secretaries and Ministers conveyed their common vision for security and stability in the region, as well as their shared ideals for global peace and prosperity. Guided by mutual values that have opened new frontiers for collaboration, and encouraged by the enduring strength of the U.S.-ROK Alliance, they reaffirmed their commitment to continue to deepen, develop, and advance the partnership to its full potential.



(비공식 국문 번역문)


2016 한‧미 외교‧국방 장관회의 공동성명


서문

미합중국 존 케리 국무장관과 애슈턴 카터 국방장관은 2016년 10월 19일 워싱턴에서 대한민국 윤병세 외교장관 및 한민구 국방장관과 함께 2+2 회의를 개최하였다. 금번 한‧미 2+2 회의는 2010년 이래 네 번째 회의로, 10월 20일 미합중국 국방부에서 한민구 국방장관과 애슈턴 카터 국방장관간 개최될 제48차 한‧미 안보협의회의(SCM)에 앞서 열린 것이다.

양국 장관들은 2013년 한‧미 동맹 60주년 기념 공동선언 및 2015년 북한에 관한 공동성명에 명시되었듯이 북한이 초래한 중대한 안보 위협에 맞서고 자유, 민주주의, 인권, 법치라는 공동의 가치에 기반하여 지역 및 범세계적 도전들에 함께 대응한다는 한‧미 동맹의 공약을 강조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오늘날의 한‧미 포괄적 전략동맹이 한반도뿐만 아니라 아태지역 전반의 평화와 안보의 핵심축으로서, 지역 및 글로벌 안정과 안보, 그리고 번영을 증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한‧미 동맹이 2015년 한‧미 관계 현황 공동설명서 ‘한‧미 동맹 : 가치의 공유, 새로운 지평’의 정신을 구현하여, 기후변화, 난민위기를 포함한 범세계적 도전들에 대응하는 보다 심화된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진화해 나가고 있음을 환영하였다.

한‧미 동맹

양국 장관들은 한‧미 상호방위조약에 기반한 굳건한 연합방위태세 및 상호안보증진을 통해 한국을 방어하기 위한 상호간의 공약을 재확인하였다. 카터 국방장관과 케리 국무장관은 핵우산, 재래식 타격능력, 미사일 방어능력을 포함한 모든 범주의 군사적 능력을 활용한 확장억제를 한국에게 제공한다는 미국의 철통같고 흔들림없는 공약을 재강조하였다. 또한 카터 국방장관과 케리 국무장관은 미국 또는 동맹국에 대한 그 어떤 공격도 격퇴될 것이며, 그 어떤 핵무기 사용의 경우에도 효과적이고 압도적인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는 미국의 오랜 정책을 재확인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강력한 대북 억제를 위해서는 외교‧정보‧군사적 공조‧경제적 요소가 포함된 전 범위에 걸친 국력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공동으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양국 장관들은 한국의 외교부‧국방부와 미국의 국무부‧국방부 대표들이 공동으로 주관하고, 여타 유관 기관들이 참여하는 고위급 한‧미 외교‧국방 확장억제 전략협의체(EDSCG)를 신설키로 결정하였다. 양측은 동 협의체를 통해 확장억제와 관련된 정책 이슈들에 대해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것이다. 양국 장관들은 양국 정부의 동맹 대비태세, 의지 및 결의를 지속적으로 과시하기 위해 한반도에서의 다양한 위기 상황과 관련한 적절한 계획과 연합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계획(COT-P)’에 따른 전작권(OPCON) 전환 준비가 정상 추진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적정한 시기에 안정적으로 전작권을 전환할 수 있도록 성실히 지속 이행할 것을 약속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북한의 증대하는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필수적인 자위적 방어조치로써, 주한미군 사드 한반도 배치에 대한 한‧미 동맹 차원의 의지를 재확인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동 체계가 오직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한 방어 목적으로만 운용되고 역내 다른 국가의 전략적 억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재강조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사드 배치 절차가 지체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약속하고, 한‧미 양국이 한반도 사드 임무와 관련한 건설적인 관여에 열려있음을 재확인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평화적인 원자력 이용과 관련한 양국간 오랜 호혜적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양국 장관들은 양국간 원자력 협력의 이정표로서 新 한‧미 원자력협정 이행을 위한 핵심 메커니즘인 한‧미 원자력 고위급위원회의 활발한 활동을 통해 양국간 전략적·미래지향적 원자력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임을 재확인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원자력 안전과 핵안보 분야에서의 공동의 노력 및 파트너십과 함께, 국제 비확산체제 강화를 위한 양국간 협력을 환영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2016년 3월 제4차 워싱턴 핵안보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환영하였고, 미측은 한국의 2016-2017년 임기 원자력공급국그룹(NSG) 및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 의장국으로서의 리더십에 사의를 표명하였다. 아울러, 양국 장관들은 「핵무기 없는 세상」 비전 구현을 위한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 의 조기 발효를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2016년 7월 제1차 한‧미 외교・국방 방산기술전략협력체(DTSCG) 고위급 회의가 성공적으로 개최된 것을 평가하였다. DTSCG를 통해 한‧미 양측은 한‧미 동맹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보호, 외교정책, 방산기술협력에 대한 정책적‧전략적 논의를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양국 장관들은 한‧미 양국간 파트너십이 사이버 안보, 우주 및 글로벌 보건 등 협력의 새로운 지평으로 발전하는 것을 평가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북한의 사이버 공격 대응을 포함한 사이버 협력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양국의 의지를 재확인하고, 우주 안보에 대한 도전에 대처해 나가는 데 있어 우주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계획을 강조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한‧미 FTA가 양국간 상호호혜적인 경제‧통상 협력을 증진시켰음을 평가하였다.

북한

양국 장관들은 북한의 거듭되고 노골적인 국제 의무 및 공약 위반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평화와 안보 위협에 대한 대응 의지를 재확인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4차 및 5차 핵실험; 23발의 단거리, 준중거리, 중거리, 장거리,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 발사; 그리고 고농축 우라늄을 비롯한 핵무기용 핵물질 생산 자인을 포함하여 2016년중 북한의 전례없는 수준의 핵‧미사일 도발을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하였다. 이러한 행위들은 역내 불안정을 야기하며, 다수의 유엔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하는 것이다. 양국 장관들은 국제사회가 단합하여, 북한에 대해 자신의 국제의무와 공약을 이행하고, 핵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즉각 중단하며, 모든 핵무기와 현존 핵 프로그램 및 여타 현존 WMD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방식으로 포기할 것을 촉구하기 위해 최고의 시급성과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필요한 모든 조치를 강구해 나가야 한다고 믿는다. 양국 장관들은 북한의 급속한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가 양국 및 역내 여타국들에 대한 직접적 위협이 된다는 인식을 공유하였다. 북한 위협의 엄중성과 시급성에 대한 공동의 이해를 바탕으로, 양국 장관들은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 양국이 취할 수 있는 구체적 조치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북한 정권의 도발적이고 불안정을 야기하는 행위들에 대해 실질적인 비용과 대가를 부과할 것이라는 의지를 재확인하고,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를 차단하고, 비핵화에 관한 진정성 있고 신뢰할 수 있는 협상으로 복귀하도록 북한 정권을 압박하기 위한 다자적, 협력적, 양자적, 독자적 조치들을 취해 나가기로 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2015년 북한에 관한 한‧미 공동성명에 명시된 공약들을 상기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북한에 대해 역대 가장 강력한 제재를 부과한 안보리 결의 2270호의 완전한 이행을 위해 계속해서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을 재확인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북한이 역내 안보와 범세계적 비확산 체제를 위협하는 불안정을 야기하는 행위들을 중단하도록 하기 위한 국제적 압박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양국 장관들은 북한의 불법적인 9월 9일 핵실험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을 더욱 강화할 새로운 결의의 채택을 위해 안보리가 신속히 행동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제3국들로 하여금 북한과의 모든 유대 관계 전반을 재검토하도록 독려하는 노력에 대해 논의하였고, 북한 노동자 접수국들은 이들의 임금이 북한의 핵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지원되지 않도록 보장할 책임을 갖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북한정권의 수많은 인권침해로 인한 북한주민의 민생에 대한 우려를 강조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북한의 자원을 핵과 미사일 개발에 전용하는 것이 북한의 고립을 더욱 심화하고 있으며, 김정은과 그의 정권 하에서 고통받고 있는 주민들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데 주목하였다. 또한, 양국 장관들은 북한의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중대한 인권침해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환영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서울에 소재한 유엔북한인권사무소의 활동, 최근 발효된 북한인권법 이행, 최근 한국의 북한인권대사 임명, 10월 4일 워싱턴에서 개최된 한‧미 북한인권 협의체 발족 등을 포함하여 개탄스러운 북한인권 상황을 더욱 부각시켜 나가기 위한 방안들을 협의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북한 지도부 책임규명과 같은 문제들에 관해 더욱 협력해 나가기로 결정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한반도 평화통일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였으며, 케리 국무장관과 카터 국방장관은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연설에 구상되어 있고 2015년 북한에 관한 한‧미 공동성명에 적시된 평화롭게 통일된 한반도 비전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재확인하였다. 이와 관련, 양국 장관들은 한반도 평화 통일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고위급전략협의들을 지속해 나가기로 결정하였다.

지역 이슈

한‧미 양국은 역내 평화와 안보를 증진하기 위한 공동의 결의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양국 장관들은 폭넓고 긴밀한 협의를 통해 한‧미‧일 3국 협력을 더욱 증진시켜 나가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강력한 3국 관계 유지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지역 안정 강화를 위해 각 국이 수행할 긍정적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2016년 3월 개최된 버락 오바마 대통령‧박근혜 대통령‧아베 신조 총리간 3국 정상회의와 9월 제71차 유엔총회 계기 뉴욕에서 개최된 3국 외교장관회담을 강조하였으며, 이러한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키로 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한‧미‧일 3국 협력 증진이 북한의 위협에 대한 억제를 강화한다는 데 공감하였다. 이러한 차원에서, 양국 장관들은 2016년 6월 실시된 3국 미사일 경보훈련이 성공적으로 실시된 것을 환영하고, 향후 한‧미‧일 안보회의 등 기존 3국 국방당국간 협의체를 활용하여 3국 국방협력 증진을 위한 추가적인 진전을 기대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2016년 1월과 9월 북한 핵실험을 포함, 북한의 다수의 도발에 대응하여 3국간 외교‧국방 당국간 협조가 이루어진 것을 높게 평가하였다. 아울러, 양국 장관들은 한‧미‧일 외교차관협의회, 개발정책협의회, 여성역량강화 회의, 인도적 지원 및 재난 대응 작업반 회의 등 3국간 협의 메커니즘을 통한 글로벌 협력의 진전을 평가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평화와 안정, 그리고 번영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대화를 통한 중국과의 건설적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미국은 2015년 동북아 평화협력을 위한 공동선언 상 한‧일‧중 3국 협력의 비전을 구현하고 일본과의 양자관계를 증진시켜 나가기 위한 한국측의 노력을 환영하였다. 한국 정부는 중국과 포괄적이고 건설적인 양자 관계를 증진시켜나가는 미국의 노력에 대해 지지를 표명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항행 및 상공비행의 자유보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모든 국가에게 국제법에 따라 남중국해에서 비행, 항행 및 작전의 권리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또한, 케리 국무장관은 한국이 2013년 박근혜 대통령이 공식 제안한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을 통해 역내 도전에 대처해 나가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10월 6-7일간 워싱턴에서 한‧미 공동주최로 개최된 제3차 동북아평화협력회의(정부간 협의회) 및 이와 병행 개최된 2016 동북아평화협력포럼에 주목하고, 향후 신뢰구축을 위한 대화가 지속되기를 기대하였다.

글로벌 협력

양국 장관들은 범세계적 대응을 필요로 하는 폭넓은 이슈들에 대한 양국간 협력을 강조하면서 한‧미 동맹이 지역을 넘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인식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오늘날 상호 연계된 세계에서 다양한 비전통적 위협들이 있음을 확인하고 기후변화에서부터 테러리즘에 이르는 사안들에 대처하기 위한 양국의 의지를 재확인하였다.

反ISIL 국제연대의 일원으로서, 양국 장관들은 ISIL의 폭력적 극단주의가 이라크‧시리아 및 전세계 사람들에게 고통을 야기해왔음을 규탄하였다. 전례없는 난민 위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한국은 미국이 공동 주최한 난민 정상회의 계기에 향후 3년간 연 4천 4백만 불 규모의 현재 인도적 지원 수준을 유지하기로 공약하였고, 향후 3년 내에 국내 절차에 따라 1억 불을 추가 지원하기로 약속하였다. 케리 국무장관과 카터 국방장관은 한국 정부의 관대한 지원, 평화유지활동의 지속 증진, 국내절차에 따른 2억 5천 5백만 불 규모의 아프간 군경 역량강화와 사회‧경제 발전 지원을 위한 기여 공약을 높이 평가하였다.

2015년 파리 기후총회를 기반으로, 양측은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다. 케리 국무장관과 카터 국방장관은 몬트리올 의정서 하 수소불화탄소(HFCs) 생산 및 소비 감축을 위한 개정서를 한국이 지지해준 점에 대해 사의를 표하였다. 또한 양측은 항만국조치협정 (Port State Measures Agreement)의 비준으로 불법‧비보고‧비규제 어업을 예방‧억제‧금지하고자 하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2016년 9월 개최된 Our Ocean Conference의 견지에서, 케리 국무장관은 양국이 공동조사합의를 연장하여 2017-2021년에도 지속적으로 공동 해양조사를 하기로 한 결정을 평가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한국의 2017년 글로벌보건안보구상 선도그룹 의장 수임 등 글로벌보건안보구상이 진전을 이룬 점을 평가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2016년 9월 개최된 암정복 3국 보건장관회의 계기 한‧미‧일간 성공적인 공조를 강조하였다. 양국 장관들은 또한 Equal Futures Partnership 구상을 통한 미국, 한국, 일본의 자국 여성의 정치 및 경제 역량강화에 대한 의지를 평가하였으며, 이는 2016년 9월 개최된 제1차 한‧미‧일 여성역량강화 회의에서 강화되었다. 동 회의의 의제가 확대되어 세계 소녀 교육에 대한 범세계적 협력이 의제로 포함되었다.

결론

상호 신뢰와 공동의 가치에 기반하고 60년 이상의 헌신으로 입증된 한‧미간 파트너십은 그 어느 때보다도 강력하다. 우리 양국간 협력의 폭과 범위는 동맹의 강화에서부터, 경제통상 관계 심화, 강력한 역내 관계 구축 및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에 이르는 것이 명백하다. 양국 장관들은 역내 안보와 안정을 위한 공동의 비전과 범세계적 평화와 번영에 대한 공동의 이상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협력의 지평에의 공조를 열어왔던 공동의 가치에 인도되어, 그리고 한‧미 동맹의 굳건함에 의해 고무되어, 양국 장관들은 한‧미 양국의 동반자 관계를 지속 심화, 발전, 진전시킴으로써 그 잠재력을 최대한 이끌어낸다는 공약을 재확인하였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북핵협상과
전화
02-2100-8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