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어린이·청소년
  2. RSS
  3. ENGLISH

외교부

장관

제네바 군축회의(CD) 고위급회기 연설(2.24.)

작성일
2020-02-25
조회수
22994


제네바 군축회의(CD) 고위급회기 연설(2020.2.24)


제네바 군축회의(CD) 고위급회기 연설(2020.2.24)




Remarks by
H.E. Kang, Kyung-wha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Korea

Conference on Disarmament
24 February 2020

Mr. President, Madame Secretary-General of the CD,
Distinguished delegates,


I am very honored to be back in the CD and speaking to you today. But I must say I do so with great concern that we face another challenging year in an increasingly complex global security environment.


Global tensions are on the rise. The nuclear arms control architecture seems to have given way, as we see in the unraveling of the INF Treaty (Intermediate-Range Nuclear Forces Treaty) and the uncertain future of the New START (Strategic Arms Reduction Treaty). New and emerging technologies, such as autonomous weapons systems and hypersonic weapons, and the expansion of human activities into cyber space and outer space have added complexity to these challenges. They are bringing about fundamental changes to the strategic balance and growing unpredictability in strategic planning.


There is a pressing need to reverse such troubling trends and regain international stability and strengthen global security. Much is at stake, not least the further erosion of the credibility of the CD as the single multilateral disarmament negotiating forum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course of the last four decades, the Geneva negotiating body has produced several milestone instruments such as the Comprehensive

Test Ban Treaty (CTBT), but it has remained deadlocked without delivering any tangible outcomes for well over two decades. 


We need to have a fresh review of this body, identify ways to revitalize its work, and move forward in disarmament negotiations. My government welcomes in this regard the initiative taken by this year’s six Presidents – the P6 – who have shown their strong commitment to working together toward this goal.


To break through the impasse and bring the CD back to its proper place, we need a practical, flexible and realistic approach. We could further narrow down the list of agenda items adopted each year, focusing on pressing items to promote the Conference’s effectiveness in addressing current security challenges. And, given the CD’s inability to move on to negotiation, the member states could try to reach consensus on non-binding measures first, such as rules, norms and codes of conduct, as a way of advancing substantive discussions on specific items. It would be also helpful to discuss how to enhanc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CD’s current working method.


Mr. President, Distinguished delegates,


This year marks the 75th anniversary of the UN as well as the 50th anniversary of the NPT’s entry into force. The Non-Proliferation Treaty has been the cornerstone of the global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regime. And yet, we are witnessing a deterioration in the global security environment. While arms control is unraveling, global defense spending is on the rise.


The 2020 NPT Review Conference takes place under these sobering circumstances. And its failure to produce a meaningful outcome will be all the more crippling and certainly in nobody’s interest. The chances of its success will be enhanced if we are able to make progress in such areas as the Fissile Material Cut-off Treaty (FMCT) negotiation. This would go a long way in restoring faith in the global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regime.


As for the Republic of Korea, we have been sparing no effort to actively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regime. Last year, we proposed a new UN General Assembly resolution titled “Youth,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It was adopted by consensus, thanks to the general support of the UN membership. This resolution aims to empower, engage and educate the young generation in the field of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and to enlist their fresh views and ideas into the disarmament discussions with a view to overcoming the long stand-still and polarization.


Distinguished delegates,


As you are well aware, my government has been pursuing the Korean Peninsula Peace Process and diplomatic engagement with the DPRK to achieve complete denucleariz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e engagement has stalled in recent months, and we regret that the DPRK has not yet returned to the negotiating table, despite our steadfast and patient efforts to promote dialogue and cooperation.


My government nevertheless remains firmly committed to staying the course toward complete denuclear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las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 speedy resumption of U.S.-DPRK negotiations is critical so that all stakeholders maintain and build upon the hard-won momentum for dialogue.


We stand ready to engage with the North in a way that facilitates and accelerates the U.S.-DPRK dialogue. At the beginning of this year, President Moon Jae-in proposed a number of inter-Korean projects and called upon the DPRK to join. Through these projects my government seeks to break through the stalemate, pave the way for the resumption of U.S.-DPRK talks, and strengthen the environment for sustained dialogue and cooperation. And we will do so adhering faithfully to the international sanctions regime on the DPRK.


In this long journey toward complete denuclearization and las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e very much count on the steady and unwavering sup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r. President,

Distinguished delegates,


No one can dispute the importance of disarmament in strengthening global security and promoting strategic stability. Given the current security environment and the challenges we face, we cannot afford to waste any more time nor effort in restoring the credibility of the CD.


The Republic of Korea stands ready to work with all other Member States committed to moving forward on disarmament and revitalizing the work of the CD. We hope that all the Membership will work together with a clear set of goals so that the CD can make real and meaningful progress this year. Together, we must provide much needed momentum for a successful outcome of the 2020 NPT Review Conference this coming April.
Thank you very much. 

/END/




-------------------------------------------(비공식 국문 번역문)-------------------------------------------



제네바 군축회의(CD) 고위급회기 외교장관 연설

의장님, CD 사무총장님,
각국 대표 여러분,


제네바 군축회의(CD)에 다시 돌아와 오늘 이렇게 연설할 수 있게 되어 영광입니다. 그러나 갈수록 복합적인 국제 안보환경 하에서 또 다시 어려운 한 해를 맞이하게 되었다는 데 대해서는 크게 우려스럽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INF 조약(중거리핵전력조약)의 종료, New START(신전략무기감축조약)의 불확실한 미래 등에서 보듯 핵 군비통제 체제는 흔들리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에 더해 자율무기체계, 초음속무기 등 신기술의 등장, 외기권과 사이버 공간으로의 인류활동 확대는 이러한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는 전략적 균형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전략적 계획에 있어 갈수록 예측불가능성을 더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어려운 추세를 되돌려 국제적으로 안정을 되찾고 국제안보를 강화해야 할 긴급한 필요성이 있습니다. 많은 것이 어려워질 수 있는 가운데, 특히 국제사회의 유일한 다자 군축협상 포럼으로서 CD에 대한 신뢰가 더욱 감소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지난 40여 년간 제네바 협상기구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과 같이 몇 가지 이정표가 된 문서들을 도출해 냈으나, 최근 20년 넘게는 아무런 실질적인 결과물을 내놓지 못한 채 교착상태가 지속되어 왔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 기구에 대한 새로운 점검을 통해 작업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군축협상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목표 하에 공동으로 노력해 나가기로 한 올해 6명의 의장들(P6)의 주도적 노력을 우리 정부는 환영합니다.


교착 상태를 타개하고 CD를 본래의 모습으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실용적이고, 유연하며 현실적인 접근법이 요구됩니다. 매년 채택되는 의제의 수를 줄여 시급한 의제에 집중함으로써 당면한 안보 도전요인 대처에 있어 CD의 효과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CD가 협상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점을 감안, 특정 의제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를 진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회원국들이 우선 규칙, 규범 및 행동강령 등 비구속적 조치들에 컨센서스를 이루기 위해 노력해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아울러, CD의 현 작업방식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논의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의장님, 각국 대표 여러분,


올해는 UN 창설 75주년이자 NPT(핵확산금지조약) 발효 50주년의 해입니다. 핵확산금지조약은 국제 군축․비확산 체제의 초석이 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국제 안보환경의 악화를 목도하고 있습니다. 군비통제가 흔들리는 가운데, 전 세계 국방비 지출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0년 NPT 평가회의는 이러한 심각한 상황 하에 개최될 예정입니다. 평가회의의 의미 있는 성과 도출 실패는 더욱 타격이 되고 그 누구도 원치 않는 결과일 것입니다. 만일 핵분열물질생산금지조약(FMCT) 협상 등 분야에서 진전을 이룰 수 있다면 평가회의 성공의 확률은 높아질 것입니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국제 군축․비확산 체제에 대한 신뢰 복원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군축․비확산 체제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 적극 노력해 왔습니다. 작년에는 “청년과 군축․비확산” 제목의 유엔 총회 결의 제출하였습니다. 유엔 회원국들의 일반적인 지지 덕분에 결의는 컨센서스로 채택되었습니다. 이 결의는 군축․비확산 분야에서 청년을 강화하고, 관여시키며, 교육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군축 논의에 있어 이들의 새로운 시각과 의견을 통해 오랜 기간의 정체 및 대립을 극복해 보고자 합니다.


각국 대표 여러분,


잘 아시다시피, 우리 정부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달성을 위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대화 노력을 추진해 왔습니다. 최근 수개월간 대화는 정체된바, 변함없이 인내심을 갖고 대화와 협력 재개를 위해 노력해 왔음에도 불구, 유감스럽게도 북한은 아직 협상 테이블에 복귀하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그럼에도 불구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을 향해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입니다. 모든 이해관계자가 어렵게 얻은 대화의 동력을 유지․강화하기 위해서는 북미대화의 조속한 재개가 중요합니다.


우리는 북미대화를 촉진하고 가속화하는 방법으로 북한과 대화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올해 초 문재인 대통령은 몇 가지 남북협력 사업을 제안하고 북측의 호응을 촉구한바 있습니다. 이러한 사업들을 통해 우리 정부는 북한과 대화의 물꼬를 트고, 북미대화의 조속한 재개를 견인하는 한편, 지속적인 대화와 협력을 위한 여건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대북제재를 충실히 이행하는 가운데 이를 추진할 것입니다.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을 향한 여정에 있어,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의 변함없고 지속적인 지지를 기대합니다.


의장님, 각국 대표 여러분,


국제안보 강화와 전략적 안정 증진에 있어 군축의 중요성은 그 누구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을 것입니다. 현 안보 환경과 당면한 도전요인을 감안할 때, 우리는 CD에 대한 신뢰 복원에 있어 더 이상 시간과 노력을 낭비할 여유가 없습니다.


대한민국은 군축 논의를 진전시키고 CD 작업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모든 여타 회원국들과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모든 회원국들이 명확한 목표 하에 협력하여 올해에는 CD가 실질적이고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기를 희망합니다. 다함께 우리는 올해 4월 개최되는 2020년 NPT 평가회의의 성공적인 성과를 위해 필요한 동력을 제공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