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리우 G20 외교장관회의 세션 1 발언문(2.21.)

작성일
2024-02-21 12:14:06
조회수
1278

Statement by H.E. Cho Tae-yul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Korea

on the Occasion of the G20 Foreign Ministers’ Meeting

(Session 1 - The G20’s role in dealing with the ongoing international tensions)


Rio de Janeiro, February 21, 2024



Thank you, Minister Vieira.


Let me start by thanking you for kindly inviting us to this ‘Marvelous City.’


I would also like to join others’ welcoming the African Union as a new member.


Dear Colleagues,


The G20 is the premier forum for economic cooperation.


However, our ability to cooperate economically and achieve global economic growth rests on the foundations of peace and stability.


As we know all too well,

those foundations are under tremendous stress.


The outbreak of another armed conflict since the last G20 Foreign Ministers’ meeting and its repercussions

vividly remind us once again how easily peace can be shattered;

how rapidly trade and supply chains can be disrupted; 

and how seriously our hard-earned progres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can be set back.


Moreover, the impact is disproportionate: the greatest burden is felt by developing countries.


It is against this backdrop that our Leaders reaffirmed their steadfast commitment to peace and stability at the New Delhi G20 Summit last year.


Korea will continue to support efforts to strengthen solidarity and cooperation at the G20 to help achieve that goal under Brazil’s leadership.


Dear Colleagues,


I would like to emphasize three critical issues

that demand our undiminished engagement.


First, the war in Ukraine.


Two years into the war, there is no end to the war in sight.


The negative effects, ranging from food and energy insecurity to the humanitarian crisis, continue unabated.


The war must come to an end, and peace must be restored as early as possible.


Korea will stand united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establish lasting peace in Ukraine.


We will continue to implement the ‘Ukraine Peace and Solidarity Initiative’ which President Yoon Suk Yeol announced during his visit to Kyiv last July.


We will deliver on our pledge to provide 2.3 billion dollars in support to help Ukraine restore peace and rebuild the nation.


We also look forward to working closely with our partners through the ‘Multi-agency Donor Coordination Platform for Ukraine’, which we joined on 14th of February this year.


Second,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We are deeply concerned about the situation in Gaza and the spread of instability in the region.


The Korean government calls on all relevant parties to comply with their obligations under international law.


Uninterrupted humanitarian access should be guaranteed, and all the remaining hostages should be released.


In the longer run, efforts to establish a lasting peace in the region is vital.


My government supports a two-state solution as the basis for bringing this goal to fruition.


The attacks by the Houthis against vessels in the Red Sea are also deep cause for concern.


Accounting for 30% of global container shipping, the Red Sea is a vital international waterway for energy supply and trade.


Events spiraling out of control could result in another major shock to the global economy.


There must be an end to all acts of provocation jeopardizing not only freedom of navigation but also peace and stability in the region.


Third, North Korea.


North Korea continues to repeatedly and unabashedly violate multipl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s it advances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It constantly churns out bellicose statements and engages in provocative behavior.


Pyongyang’s illicit activities pose a threat to peace and stability not only on the Korean Peninsula but throughout the globe.


Indeed, its unlawful military cooperation with Moscow underscores how security in Northeast Asia and security in Europe are increasingly intertwined.


G20 nations must demonstrate leadership in drawing a firm and united response from the broader international community.


In particular, we should redouble our efforts to block key revenue sources for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All nations must fully implement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including by stopping the employment of North Korean workers, tackling illicit ship-to-ship transfers, and addressing malicious cyber activities.


And we need to step up our efforts to improve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It is through the repression of the rights of its people and the diversion of scarce resources that Pyongyang is able to develop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with impunity at home.


Indeed, Nuclear and human rights problems in North Korea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Dear Colleagues,


We must not allow our divisions to get in the way of tackling the multitude of tasks that lie ahead.  


Accelerating the deployment of zero- and low-emission technologies to combat climate change is imperative.


Korea has been championing the Carbon Free Energy Initiative as part of our effort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The G20 should also cooperate on international governanc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Korea aims to contribute to global discussions on AI governance through a series of milestones this year.


We will host the Global AI Forum, back to back with the AI Safety Summit to be co-hosted with the United Kingdom,

as well as the REAIM Summit with the Netherlands, focusing on the responsible military use of AI.


There is also a pressing need to make further progress in achieving the SDGs.


The 40 percent increase in our ODA budget this year underscores Korea’s commitment to this end.


To help promote inclusive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globally, Korea will enhance its engagement with the Global South.


A key example is the first ever Korea-Africa Summit that will be held in Seoul later this year.


Through these efforts and others, Korea will continue to help catalyze cooperation in the G20 as we work together for a successful Summit in November.


Thank you.   ###



----------------------------------


<비공식 번역>


2024년 G20 외교장관회의 계기 조태열 장관 연설문

(세션 1 : 지정학적 갈등에 대한 G20의 역할)


감사합니다. 비에이라 장관님.


우선 이 경이로운 도시(marvelous city)에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 또한 앞서 말씀하신 분들과 마찬가지로 아프리카연합(AU)의 G20 신규 가입을 환영합니다.


동료 여러분,


G20은 경제협력을 위한 최상위포럼(premier forum for economic cooperation)입니다.


우리는 평화와 안정을 토대로 경제협력과 글로벌 경제성장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주지하다시피, 현재 평화와 안정은 엄청난 긴장 상태에 놓여 있습니다.


지난 G20 외교장관회의 이후 발생한 또 다른 무력 분쟁과 그 여파를 통해서

우리는 평화가 얼마나 쉽게 무너질 수 있는지,

무역과 공급망의 교란이 얼마나 급속도로 일어날 수 있는지,

우리가 그토록 어렵게 달성해온 지속 가능한 개발을 향한 성과들이 얼마나 크게 퇴보할 수 있는지를

다시금 생생히 되새기게 됩니다.


게다가, 충격의 여파는 불균등하여 개도국이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 정상들은 작년 뉴델리에서 개최된 G20 정상회의 계기에 평화와 안정을 향한 굳건한 의지를 다시금 확인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올해 G20에서 논의될 연대와 협력의 강화 노력을 변함없이 지지함으로써, 브라질의 리더십 하에서 이 목표 달성을 도울 것입니다.


동료 여러분,


저는 우리가 꾸준하게 관여해야 하는 필요한 세 가지 중요사안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첫째는 우크라이나 전쟁입니다.


발발한 지 2년이 지났지만, 끝날 기미가 아직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식량과 에너지 불안으로부터 인도적 위기에 이르기까지 전쟁으로 인한 부정적 여파들은, 조금도 수그러들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전쟁 종식과 평화 회복은 가능한 조속히 이루어져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우크라이나에 항구적 평화가 정착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연대할 것입니다.


우리는 윤석열 대통령께서 작년 7월 키이우를 방문 하셨을 때 발표하신 ‘우크라이나 평화 연대 이니셔티브(Ukraine Peace and Security Initiative)’를 계속 이행할 것입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우크라이나의 평화 회복과 국가 재건을 돕기 위해 23억불을 지원하겠다는 공약을 이행할 것입니다.


아울러, 우리는 올해 2월 14일에 가입한 ‘우크라이나 공여자 공조 플랫폼(MDCP)’을 통해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방침입니다.


둘째는 중동 정세입니다.


우리나라는 가자지구 사태와 이로 인한 역내 불안정의 확산을 깊이 우려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모든 관계 당사자들이 국제법상 의무를 준수할 것을 촉구합니다.


인도적 접근은 방해 없이 보장되어야 하며, 남아있는 인질들은 모두 조속히 석방되어야 합니다.


보다 장기적으로는, 중동 지역 내 항구적인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우리 정부는 두 국가 해법이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기초라 생각하며 이를 지지합니다.


한편, 예멘 후티 반군이 홍해를 통항하는 선박들에 대해 공격을 감행하고 있어 또한 우려가 큽니다.


홍해는 국제 컨테이너 수송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어 에너지 공급과 무역 측면에서 중요한 국제수로입니다.


만약 이 상황을 통제하는 데 실패하면 세계 경제에 또 다른 큰 충격이 닥칠 수도 있습니다.


항행의 자유와 역내 평화·안정을 위협하는 어떠한 도발 행위도 반드시 중단해야 합니다.


셋째는 북한입니다.


북한은 핵과 미사일 실험을 계속 감행함으로써, 반복적이고도 뻔뻔하게 다수의 유엔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일을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은 이에 그치지 않고 호전적인 성명을 잇달아 발표하고 있으며, 도발 행위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북한의 불법적인 행태는 한반도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의 평화와 안정에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러시아와 북한이 불법 군사협력을 이어가고 있다는 것만 보더라도, 동북아와 유럽의 안보가 얼마나 긴밀히 얽혀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G20 회원국이 국제사회의 굳건하고 단합된 대응을 견인할 수 있도록 지도력을 발휘해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소요되는 자금의 주요 출처들을 차단하기 위한 노력을 한층 더 기울여야 합니다.


또한, 모든 국가들은 북한 관련 유엔안보리 결의들을 충실히 이행해야 하여, 특히 북한 노동자들의 고용 중단, 북한 선박의 불법 환적 대응, 그리고 북한 정부의 악성적인 사이버 활동 대처 등에 나서야 합니다.


아울러, 우리는 북한 내 인권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강화해야 합니다.


북한은 지금껏 주민들의 권리를 억압하고 부족한 자원을 전용함으로써 자신들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개발해왔으며, 이에 대한 처벌도 받지 않았습니다.


북핵 문제와 북한 인권 문제는 실제로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것입니다.


동료 여러분,


우리 G20 내 일부 이견으로 인해 우리 앞에 산적한 현안들을 대처해 나가기 위한 노력이 저해되어서는 안 됩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무탄소, 저탄소 기술의 확산 속도를 가속화 하는 것은 시급한 과제입니다.


우리나라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무탄소에너지 이니셔티브(Carbon Free Energy Initiative)’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G20은 인공지능(AI)에 관한 국제 거버넌스를 위해서도 협력해야 합니다.


한국은 올해 일련의 주요 행사들을 개최함으로써, AI 거버넌스에 대한 국제사회의 논의에 공헌할 것입니다.


우리는 영국과 공동 개최하는 ‘AI 안정성 정상회의(AI Safety Summit)’에 연이어 ‘글로벌 AI 포럼(Global AI Forum)’을 주최할 예정이며,

네덜란드와도 AI의 책임 있는 군사적 사용에 초점을 맞춘 ‘인공지능의 책임있는 군사적 이용에 관한 고위급 회의(REAIM Summit)’를 공동 개최할 것입니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달성 진전을 위한 노력도 한층 더해져야 합니다.


올해 우리나라가 공적개발원조(ODA) 예산을 무려 40%나 확대한 것은 이러한 의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입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포용적인 성장과 지속 가능한 개발 관련 국제사회의 논의를 촉진하기 위해서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에 대한 관여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올해 서울에서 최초로 한-아프리카 정상회의가 열릴 예정입니다.


이러한 다방면의 노력을 통해, 우리나라는 11월에 개최될 G20 정상회의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협력하고 G20 차원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매진해 나갈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