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제1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 개회사

작성일
2019-07-03 10:00:47
조회수
58795

제1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 개회사



Opening Remarks by
H.E. Kang Kyung-wha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tion with Women and Peace”
2 July 2019

Dr. Denis Mukwege, Minister Retno, SRSG Pramila Patten, Former High Commissioner Zeid Al-Hussein, distinguished guest, ladies and gentlemen,


It gives me great pleasure to welcome all of you to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tion with Women and Peace”, my government’s initiative to more actively contribute to the global women, peace and security agenda.


Next year will mark the 20th Anniversary of Resolution 1325 of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Since its adoption in 2000, much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global response to  sexual violence in conflict.  Awareness has been raised about the link between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and peace and security, the silence over the issue has been broken in many parts of the world, and conflict-related sexual violence has been prosecuted and convicted as a crime under international law.


The Security Council continues to be engaged on the issue, and the adoption of follow-up resolutions to 1325 have further galvanized efforts to fight this scourge.  In particular, the adoption of Resolution 1820 in 2009, establishing the  mandate of the Special Representative on Sexual Violence in Conflict, was an important milestone.  Allow m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thank the current office holder, Pramila Patten for her tireless work and dedication to fulfilling her mandate.


Today, we also have with us one of the most heroic defenders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in conflict, Dr. Denis Mukwege.  I am privileged to be able to consider myself a loyal friend and supporter of Dr. Mukwege.  I was very sad, therefore, to miss his first visit to Korea in 2016 when he was awarded the Seoul Peace Prize.  So I am delighted that he has accepted our invitation to come back this time to lend his support and authority to this conference.  


The awarding of the Nobel Peace Prize to Dr.Mukwege and Ms. Nadia Murad last year was in recognition of their indomitable courage and abiding dedication in support of the victims and survivors of sexual violence in conflict.  It has also enhanced public awareness of the issue, and rekindled advocacy and activism to eliminate this most pernicious form of human rights abuse.  It has also thrown light on the great distance ahead in achieving that goal.   


Despite all the progress, the crime of sexual violence is persistent in today’s conflict zones.  The normative frameworks have advanced during the last two decades, but the gap between the norm and the reality on the ground remains wide and deep, as clearly laid out in this year’s report of the UN Secretary-General.  Indeed, the Nobel Peace Prize to Dr. Mukwege last year was an alarm against complacency and a call to further action. 


It was in this sense of renewed resolve that my government launched the Initiative of “Action with Women and Peace” last year.  As a country that saw many young girls and women fall victim as so-called “comfort wome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we still grapple with their pain and suffering, and we  empathize profoundly with victims of conflict-related sexual violence wherever it takes place.    


Based on our historical experience,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actively participating in global efforts to advance the agenda of Women, Peace and Security.  The “Action with Women and Peace” Initiative concretely translates our commitment into action.


There are two pillars to this Initiative. One is to support humanitarian and development projects that target women and girls in conflict situations, and the other is to provide a  platform in this region to advance the global discourse on the many challenges tied to the Women, Peace and Security agenda, including conflict-related sexual violence. This Conference marks the official launch of such a platform.  I am very confident that during the next two days, the conference will prove to be a vibrant and rich launching pad for the platform.


Distinguished guests, colleagues and friends,


Before we start our discussion, I would like to share some points that I consider to be priority considerations as we explore the way forward.


First, I would like to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As with all threats to human rights as well as peaceful societies, it is much better to prevent than to respond to sexual violence in conflict or in peaceful times.  The key in prevention is addressing the root causes, which is invariably, though in different forms and varying degrees, structural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gender inequality. Combatting gender-based discrimination before, during and after conflicts should always be a part of our work on conflict-related sexual violence. 


Effective and meaningful participation of women in discussion and decision-making over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ssues during the entire peace process, including peace-making and post-conflict reconstruction, is also instrumental.  The voice of women should be made stronger in supporting survivors and ensuring accountability.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national defense and peace and security policies.  In 2014, we adopted a National Action Plan for the implementation of 1325.  We also announced several commitments at the High Level Side Event on the occasion of the Security Council Open Debate last April.  Among others, we committed to ensuring women’s increased participation and greater gender equality in our peacekeeping operations, and enhancing women’s representation in the peace-related functions of the government.  We are determined to make further progress in this field.


Second, the victim- and survivor-centered approach, as spelled out in Resolution 2467, should guide all of our efforts. 


This is crucial not just for sustainable solutions but also for the prevention of secondary trauma or re-victimization. The survivor-centered approach should be integrated into all policies and programs to support and meet the needs and demands of the survivors in post-conflict situations.  This has been our approach in supporting Rohingya refugee women through UNFPA and UNICEF. Starting this year, we will be also helping survivors in the Central African Republic.


Back in October 2010, a High-level Panel appointed by the UN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on Remedies and Reparations for Victims of Sexual Violence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conducted in-country work. As Chair of Panel at the time, I had the chance to meet many survivors of conflict-related sexual violence in eastern DRC.  Their recollection of the horrendous violence they had been subjected to, as well as the social stigma, isolation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pains they were suffering in the aftermath were extraordinary. But it turns out that their terrible ordeal is not extraordinary but repeated and perpetuated in many conflict zones, as if they were ordinary. Listening, really listening to the voices of the survivors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in all our efforts.


This afternoon, we will have such a chance to listen, at a session on “Ensuring a Survivor-Centered Approach.”  Listening, of course, would have little meaning beyond commiseration unless it is translated into action. It is therefore with great appreciation that we have carefully followed the initiative of Dr. Mukwege and his foundation to establish the International Survivor’s Fund.  I very much hope that the Fund will be established and become an indispensable tool that changes the lives of survivors much for the better.


The significance of the victim-centered approach has also been underlined by the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last year with regard to the issue of “comfort women.” My government has humbly acknowledged that previous efforts on this issue had been grossly lacking in this regard, and we have committed to the victim-centered approach in support of the survivors’ aspiration for justice based upon historical truth. The Korean Government will continue to heed their voices and do as much as we can in restoring their dignity and honor, and to ensure that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learn from the past.


Third, the role and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must be further encouraged.


Civil society groups on the ground play a crucial role in preventing the outbreak of violence by sounding early-warning alarms and helping survivors overcome their trauma.  They have also helped to identify and overcome various challenges and barriers in running programs to support the survivors.


In recognition of civil society’s key role, we established an  Advisory Committee when we launched the “Action with Women and Peace” Initiative. The Advisory Committee is comprised of experts and advocates with various backgrounds in the field of gender and human rights, and is tasked with providing advice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itiative.   I am very grateful to each and every member of the Advisory Committee, whose views have been invaluable in preparing for this conference.  They will continue to be our sounding board and partner as we build upon the outcome of the Conference.


Last but not least, we need to make sustained efforts to pursue accountability.


Lack of accountability breeds impunity, which fuels further violence and discourages survivors from seeking justice.  Once settled in, the culture of impunity is extremely difficult to dismantle.  But we must try with every case.  Providing a safe environment for victims to report the crimes is a first step.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dispel the social stigma and discrimination against survivors. At the global level, countries during and after conflict should be supported in strengthening their judicial system and advancing the rule of law, as well as in capacity building and training for law-enforcement personnel.


Ladies and gentlemen, friends and colleagues,


I have no illusion about the challenges we are facing.  I don’t think any of us do.  Indeed, in an atmosphere of an overall decline in the commitment to human rights protection and intractable conflicts in many corners of the world, it is easy to lose hope that we will ever see the day when conflicts are wisely prevented and will be free of a spike in sexual violence and the temptation of the warring parties to exploit it as a tool of warfare. 


However, we also see the momentum for positive change brought about by the recent me-too movement in so many countries, including mine. Will the shrinking space for  violence against women and girls in peaceful contexts lead to the same in conflict and other crisis situations?  Perhaps the answer is not so straight forward, and would depend case by case.  But let us keep up the hope and the resolve, working with our leading advocates such as Dr. Mukwege and SRSG Patten, and the former High Commissioner, to usher in the day when women are not destroyed as victims of terrible violence but lead as  peace-makers and builders.

Once again, thank you all for coming to share your stories and insights.  I wish everyone fruitful and engaging discussions.  

Thank you.  /End/



------------------------------------(비공식 국문 번역문)-------------------------------------




무퀘게 박사님, 레트노 인도네시아 외교장관님, 프라밀라 패턴 분쟁하 성폭력 유엔 사무총장 특별대표님, 자이드 전 유엔인권최고대표님,
귀빈 여러분, 신사 숙녀 여러분,
 
국제사회의 여성‧평화‧안보 의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기여하기 위한 우리 정부의 구상인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제1차 국제회의에 참석하신 여러분 모두를 기쁜 마음으로 환영합니다.


내년은 유엔 안보리 결의 1325가 채택된 지 2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2000년 안보리 결의 1325가 채택된 이래, 국제사회는 분쟁하 성폭력 대응에 많은 진전을 이뤄냈습니다. 여성에 대한 성폭력이 평화‧안보와 연계된 문제라는 인식이 제고되었고, 전 세계 많은 지역에서 동 문제에 대해 더 이상 침묵하지 않게 되었으며, 분쟁 관련 성폭력이 국제법상 범죄로 기소되고 처벌되어 왔습니다.


안보리는 동 문제를 지속적으로 다루어 왔으며, 안보리 결의 1325 후속결의들의 채택은 이 끔찍한 문제에 맞서 싸우기 위한 노력을 더욱 강화시켰습니다. 특히, 분쟁하 성폭력 유엔 사무총장 특별대표 임무를 창설한 2009년 안보리 결의 1820 채택은 중요한 이정표였습니다. 이 기회를 빌어 현 임무 수임자인 프라밀라 패턴 특별대표의 끊임없는 노력과 헌신에 사의를 표합니다.


오늘 이 자리에는 분쟁하 성폭력 피해자들의 가장 위대한 옹호자들중 한 분인 무케게 박사도 와 계십니다. 저는 영광스럽게도 무케게 박사의 가까운 친구이자 지지자입니다. 아쉽게도 저는 무퀘게 박사가 2016년 서울평화상 수상을 위해 한국에 처음 왔을 때 만나지 못했었습니다. 그래서 그가 우리의 금번 방한 초청을 수락하여 이번 국제회의를 지지해 주고 권위를 더해 준 데 대해 기쁘게 생각합니다.


무케게 박사와 나디아 무라드의 작년 노벨평화상 수상은 그들의 불굴의 용기와 분쟁하 성폭력 피해자 및 생존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그들의 지속된 헌신을 인정한 결과였습니다. 이와 동시에 그들의 수상은 동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제고하였으며, 가장 사악한 형태의 인권 침해인 동 문제를 근절해야 한다는 여론과 행동을 재점화시켰습니다. 또한,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머나먼 길에 한 줄기의 빛을 비춰주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진전에도 불구하고, 성폭력 범죄는 오늘날 분쟁 지역에서 여전히 지속되고 있습니다. 규범적 틀은 지난 20년간 진전되어 왔지만, 금년도 유엔 사무총장 보고서에서도 분명히 적시된 바와 같이, 규범과 현실의 간극은 여전히 넓고 깊은 상황입니다. 작년 무퀘게 박사의 노벨평화상 수상은 우리가 현실에 만족해서는 안된다는 경고이자, 더 많은 행동에 대한 요청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새로운 결심하에 우리 정부는 작년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구상을 출범시켰습니다. 우리는 2차대전중 많은 소녀와 여성들이 위안부 피해를 경험한 국가로서 여전히 그들의 고통과 괴로움을 치유하기 위해 애쓰고 있으며, 분쟁 관련 성폭력 피해가 어디에서 발생하는가에 상관없이 피해자들의 고통에 깊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역사적 경험에 기반하여 여성‧평화‧안보 의제를 진전시키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왔습니다.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구상은 우리의 공약을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기 위한 것입니다.


동 구상은 두 개의 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나는 분쟁하 여성과 소녀를 위한 인도적, 개발 사업을 지원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분쟁 관련 성폭력을 포함한 여성‧평화‧안보와 연관된 많은 도전과제들에 대한 국제사회의 담론을 진전시키기 위한 틀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금번 회의는 그러한 틀의 공식적인 출범을 의미합니다. 저는 앞으로 이틀간의 회의가 이를 위한 활기차고 깊이있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귀빈 여러분,


논의에 앞서, 우리가 진전 방안을 모색해 나가는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에 관한 저의 생각을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첫째,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평화로운 사회뿐만 아니라 모든 인권에 대한 위협이 그러하듯이, 평화로운 시기이건 분쟁상황에서건 성폭력에 대응하기 이전에 예방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방의 핵심은 근본원인을 해소하는 것인데, 근본원인은 형태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언제나 여성에 대한 구조적 차별과 양성 불평등입니다. 분쟁중뿐만 아니라 분쟁 전후 과정에서 젠더에 기반한 차별을 철폐하는 것은 언제나 우리의 분쟁 관련 성폭력 대응 노력의 일부분이 되어야 합니다.


평화구축, 분쟁후 재건을 포함한 전 평화과정에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논의와 정책결정에 여성이 효과적이고 의미있게 참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생존자 지원과 책임규명 과정에서도 여성의 목소리가 강화되어야 합니다.


한국 정부는 국방과 평화, 안보 정책 분야에서 여성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오고 있습니다. 2014년에 우리는 안보리 결의 1325 이행을 위한 국가행동계획을 채택한 바 있습니다. 또한 우리는 지난 4월 안보리 공개토의 계기에 개최된 고위급 부대행사에서 여러 공약을 발표하였습니다. 우리의 공약중에는 유엔 평화유지활동에의 여성참여 확대 및 양성평등 제고, 정부내 평화 관련 기능에서의 여성 대표성 제고 등도 포합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이 분야에서 더 많은 진전을 이루어 나가고자 합니다.


둘째, 피해자 및 생존자 중심 접근은 안보리 결의 2467호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우리의 모든 노력의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동 접근은 지속가능한 해결뿐만 아니라 피해자에 대한 2차적인 가해 또는 재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도 중요합니다. 생존자 중심 접근은 분쟁후 상황에서 생존자의 수요를 충족하고 지원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프로그램에 반영되어야 합니다. 우리도 유엔인구기금(UNFPA)과 유엔아동기금(UNICEF)을 통해 로힝야 난민 여성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접근을 취한 바 있습니다. 올해부터 우리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생존자들도 지원하게 될 것입니다.


2010년 10월, 「콩고민주공화국 성폭력 피해자 구제 및 보상 관련 고위급패널」은 콩고민주공화국 방문 활동을 수행한 바 있습니다. 당시 동 패널의 의장으로서, 저는 콩고민주공화국 동부의 많은 분쟁 관련 성폭력 생존자들을 만날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들이 겪어야 했던 끔찍한 폭력의 기억과 그 여파로 그들이 겪었던 사회적 낙인, 소외, 그리고 육체적 정신적 고통은 충격적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비참한 고난은 이례적인 것이 아니라 많은 분쟁 지역에서, 마치 일상적인 것처럼, 반복되고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듣는 것, 진정으로 생존자들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우리의 모든 노력의 출발점이 되어야 합니다.


오늘 오후 우리는 “생존자 중심 접근” 세션에서 생존자들의 목소리를 들을 기회를 갖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듣는 것이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이는 그저 동정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할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무퀘게 박사와 그의 재단이 국제 생존자 기금을 설립하려는 구상을 주의깊게 지켜보고 있으며, 그러한 노력에 깊은 사의를 표합니다. 동 기금이 설립되어 생존자의 삶을 개선시키는 데 꼭 필요한 발판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피해자 중심 접근의 중요성은 작년 유엔 인종차별철폐위원회가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서도 강조한 바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위안부 문제에 관한 이전의 노력에 피해자 중심 접근이 심각하게 결여되어 있었음을 겸허히 인정한 바 있으며, 역사적 진실에 기반한 정의를 향한 생존자들의 열망을 지지하면서 피해자 중심 접근을 공약한 바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지속해서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면서 그들의 존엄과 명예회복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며, 현재와 미래의 세대가 과거로부터 배울 수 있도록 해 나갈 것입니다.


셋째, 시민사회의 역할과 참여가 더욱 독려되어야 합니다.


현장의 시민사회 단체는 조기경보를 울려 폭력의 발생을 예방하고 생존자들이 정신적 충격을 극복하는 것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또한 그들은 생존자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도전과제와 장애물을 확인하고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어 왔습니다.


시민사회의 핵심적인 역할을 인식하고, 우리는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의 출범과 함께 자문위원회를 발족한 바 있습니다. 자문위원회는 젠더와 인권 분야의 다양한 배경을 가진 전문가들과 옹호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 구상의 이행과 관련하여 자문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금번 회의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소중한 의견을 제공해 주신 자문위원회의 모든 위원님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자문위원들은 금번 국제회의의 결과를 발전시켜나가는 과정에서 지속해서 우리와 협력하고 우리의 구상을 홍보해 주실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책임규명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야 합니다.


책임규명의 부재는 불처벌을 양산하는데, 이는 폭력을 더욱 부채질하고 생존자들이 정의를 추구하지 못하도록 좌절시킵니다. 불처벌의 관행은 일단 정착이 되고 나면 뿌리를 뽑기가 매우 어려워집니다. 피해자들이 범죄를 신고하도록 하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첫 조치가 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생존자들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차별을 없애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제적 차원에서는 분쟁하 또는 분쟁을 겪은 국가들의 사법제도 강화와 법치 개선 및 법집행 인력의 역량강화와 훈련 등을 지원해야 합니다.


신사 숙녀 여러분,


저는 우리가 직면한 도전과제에 대해 어떠한 환상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우리 모두가 그러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전 세계 많은 지역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분쟁이 지속되고 인권보호에 대한 공약이 전반적으로 쇠퇴하는 환경에서, 분쟁을 슬기롭게 예방하고 성폭력과 이를 전쟁의 수단으로 이용하려는 분쟁당사자들의 유혹이 사라지는 날이 올 거라는 희망을 갖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많은 국가에서 일어난 미투 운동이 가져온 긍정적인 변화의 움직임도 볼 수 있습니다. 평화적인 맥락에서 여성과 소녀에 대한 폭력의 공간이 축소되고 있는 것이 분쟁과 여타 위기 상황에서의 같은 변화로 이어지게 될까요? 아마도 그에 대한 답변은 그다지 간단하지 않을 것이고 경우에 따라 다를 것입니다. 하지만, 무퀘게 박사, 패턴 특별대표, 전 유엔인권최고대표와 같은 주도적 옹호자들과 협력하여 여성이 끔찍한 폭력의 피해자로 파괴되지 않고 오히려 평화를 주도해 나가는 날을 맞이할 수 있다는 희망과 결의를 지켜나가야 할 것입니다.


여러분들의 이야기와 식견을 공유하기 위해 와 주신데 재차 감사드립니다. 여러분 모두가 보람있고 유익한 논의를 갖기를 고대합니다.

감사합니다.  끝.